출처 구글

오늘은 목표 설정에 관련한 방법론에 대해서 한가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

다양한 프레임워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OKR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
 

💡 OKR ( Objective and Key Results )

 

간략하게 요약하자면

OKR은 목표(Objective)와 핵심 결과(Key Results)의 약자입니다.

측정 가능한 팀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 설정 방법론입니다.

OKR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진행 상태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핵심 결과를 연결짓기 때문에 목표와 팀이

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업무가 연결된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.

 

즉 '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 및 추적'이 중요합니다.

 

OKR을 설정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부분은 무엇이 있을까요?

1.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

2. 자신의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하고

3. 그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.

 

이렇게 말로 풀어보려니 무슨 말인지 다가오지가 않네요.

예시를 한가지 들어보려합니다.

 

먼저 잘못된 예시입니다.

Objective : 론칭 첫해 시장 점유율 1위

KR : 홈페이지 2개 만들기, 광고 콘텐츠 5개 제작

무슨 방법으로 목표를 추적할 것인지 알수가 없습니다..

 

올바른 예시를 보죠

Objective : 론칭 첫해 시장 점유율 1위

KR: 마케팅 전환율, 화면 전환율 20% 달성

Initiative : 홈페이지 2개 만들기, 광고 콘텐츠 5개 제작

위와 같이 추적 가능한 지표를 만들고 그 외 부가적인 요소를 잡아가는 것이 중요한 점입니다.

 

OKR의 주요 포인트 3가지를 뽑자면.

OKR은 불가능(도전적인)할 것 같은 목표를 정하고,

추적 가능한 지표를 통해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

Key Results는 업무 활동이 아닌 성과 결과여야 한다.

위와 같겠네요.

 

그래도 자신이 OKR을 새롭게 작성했다면 이것이 올바른지 알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.

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아래에 작성해 보겠습니다.

포인트

결론적으로 OKRs를 짤 때는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

  •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가 설정되었는가? 이상적인 목표 달성률은 70%이다.
  • 영감을 주는 목표가 설정되었는가?
  • 단기간에 가능한 목표가 설정되었는가?
  • 핵심 지표가 너무 많지는 않은가? 이상적인 핵심 지표 수는 3-5개이다.
  • 목표에 수치가 포함되어 있는가?
  • 핵심 결과 지표에 따른 일의 구체적인 우선순위가 정해졌는가?
  • 핵심 지표를 트래킹할 수 있는가?
  • OKRs 이 모든 팀원에게 공유되었는가?
  • 주기를 정해 달성한 것을 공유하였는가?

 

목표에 대한 설정도 중요하지만 결국 방법론은 한가지의 방법일 뿐입니다.

가장 중요한 것은

팀원과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현재 상황에 대해 팀원이 공감할 수 있고, 같은 방향을 볼 수 있는 OKR을 그려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.

+ Recent posts